메뉴 바로가기
내용 바로가기
ID 저장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예보정보
특보정보
레저스포츠
영상자료
과거기상
상세예보
장기예보
SMS서비스
지역별날씨
해상예보
공항예보
주간예보
월간예보
계절예보
세계예보
생활지수
자외선
현재날씨
슈퍼컴
부유먼지
기상특보
태풍정보
지진정보
황사정보
미세먼지
고속도로
축구
야구
골프
스키
등산
바다낚시
민물낚시
콘도
휴양림
테마파크
해수욕장
드라이브
래프팅
레이더영상
위성영상
황사분석
일기도
일별검색
일별통계
기상월표
월별검색
극값검색
어제날씨
강우집계
적설집계
한국기후
일평년값
월평년값
세계기후
상세예보
장기예보
서비스안내
서비스종류와 요금
서비스신청
서비스정보
> 고객센터 >
공지사항
기상특보 :
- 2025-07-02 16:00:00 o 폭염경보 : 경기도(가평, 하남, 용인, 이천, 안성, 여주, 광주, 양평), 강원도(강릉평지, 동해평지, 삼척평지, 양양평지, 강원남부산지), 충청남도(공주, 아산, 논산, 금산, 부여), 충청북도(청주, 옥천, 영동, 충주), 전라남도(나주, 담양, 곡성, 구례, 장성, 화순, 고흥, 보성, 여수, 광양, 순천, 장흥, 강진, 완도, 영암, 무안, 영광), 전북자치도(김제, 완주, 임실, 순창, 정읍, 전주, 남원), 경상북도(문경, 영주, 영양평지, 경북북동산지 제외), 경상남도(통영, 남해 제외), 제주도(제주도동부),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울산, 세종 o 폭염주의보 : 경기도(광명, 과천, 안산, 시흥, 부천, 동두천, 연천, 포천, 고양, 양주, 의정부, 파주, 수원, 성남, 안양, 구리, 남양주, 오산, 평택, 군포, 의왕, 화성), 강원도(속초평지, 고성평지, 영월, 정선평지, 횡성, 원주, 철원, 화천, 홍천평지, 춘천, 양구평지, 인제평지, 강원북부산지, 강원중부산지), 충청남도(천안, 청양, 예산, 태안, 당진, 서산, 보령, 서천, 홍성, 계룡), 충청북도(보은, 괴산, 제천, 진천, 음성, 단양, 증평), 전라남도(해남, 함평, 목포, 신안(흑산면제외), 진도, 거문도.초도), 전북자치도(고창, 부안, 군산, 진안, 무주, 장수, 익산), 경상북도(문경, 영주, 영양평지, 경북북동산지), 경상남도(통영, 남해), 제주도(제주도서부, 제주도북부, 제주도남부, 제주도북부중산간, 제주도남부중산간), 서울, 인천(강화군,옹진군 제외), 울릉도독도
1 기상특보
2 장기예보
3 SMS서비스
4 황사정보
5 세계예보
6 상세예보
7 골프장날씨
8 슈퍼컴예보
9 지역별날씨
조석표
일출몰시간
양음력변환
섭씨화씨변환
체감온도
불쾌지수
날씨속담
기상용어
예보용어
아이콘설명
FAQ
공지사항
Q&A
사이트맵
올 겨울 기상관측 이래 가장 포근
관리자
2007-03-06
올 겨울의 전국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2도 높아 근대기상관측 이래 가장 포근한 겨울로 기록되었습니다. 올 겨울(2006년 12월, 2007년 1월과 2월)은 지구온난화와 엘니뇨의 영향으로 1904년 근대기상관측 이래 가장 포근한 겨울로 기록되었으며, 강수량은 전국이 평년대비 85.2%로 대체로 건조했으나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 겨울 전국평균기온은 2.46℃로 평년(1971년-2000년)의 0.43℃보다 2.03℃ 높아 1위를 기록하였으며,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의 전국평균도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2월 전국평균기온은 4.09℃로 평년(0.75℃)보다 3.34℃도가 높아 1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전국평균은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자료를 생산하기 시작한 1973년 이후 60개 지점을 평균한 것) 대륙고기압의 약화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아 올 겨울기온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평균기온과 최고기온, 최저기온이 모두 관측 이래 최고기록을 경신했습니다.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일평균기온 5℃ 이하인 날은 2006년 11월 30일에 나타나 평년(11월 26일)보다 4일 늦었으며, 봄기운을 느낄 수 있는 일평균기온 5℃ 이상인 날은 2월 21일에 나타나 평년(3월 12일)보다 20일 빨랐습니다. 겨울철 다우(多雨)지역인 영동지방(강릉 36.2%, 대관령 44.9% 등)과 중부지방(이천 48.4%, 강화 49.3% 등)은 강수량이 평년대비 70% 미만이었고, 제주(141.7%)와 전라도 일부 지역(정읍 128.0%, 완도 127.7% 등)에서만 평년비 120%이상으로 평년보다 많았으며 그 밖의 지역은 평년과 비슷하였습니다. 서울의 겨울철 평균기온은 1.87℃로 평년(영하 0.87℃)보다 2.74℃ 높아 1907년 관측 이래 가장 따뜻한 겨울이었으며, 이러한 겨울철 이상고온 현상은 앞으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거 50년과 최근 50년의 이상고온 발생 가능성을 비교해 본 결과, 서울 올 겨울 평균기온 1.87℃는 과거 50년간(1907년~1956년) 겨울기온으로는 1000년에 1번 발생할 확률의 기록이나, 최근 50년간(1957년~2006년) 겨울기온으로는 100년에 3번 정도 발생할 수 있을 확률의 기록입니다. 이는 지구온난화와 도시화 등에 따라 서울 겨울철 평균기온이 과거 50년 영하 2.8℃에서 최근 50년 영하 1.1℃로 상승한 것에 기인합니다. 서울의 일최저기온 영하 10℃ 이하 일수는 관측 이래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올 겨울에는 2일(2006년 12월 28일 영하 11.3℃, 29일 영하 12.3℃)만 나타났으며, 최저기온 0℃ 이상의 고온일수는 34일로 평년(16일)보다 18일이 많았습니다. 이 영향으로 1991년 겨울 이후 15년 만에 한강이 얼지 않았습니다.
 
2007년 벚꽃 개화 예상시기
관리자
2007년 봄꽃 개화 예상시기
관리자
웨더아이 - 날씨로부터의 자유, 날씨와 함께하는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