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내용 바로가기
ID 저장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예보정보
특보정보
레저스포츠
영상자료
과거기상
상세예보
장기예보
SMS서비스
지역별날씨
해상예보
공항예보
주간예보
월간예보
계절예보
세계예보
생활지수
자외선
현재날씨
슈퍼컴
부유먼지
기상특보
태풍정보
지진정보
황사정보
미세먼지
고속도로
축구
야구
골프
스키
등산
바다낚시
민물낚시
콘도
휴양림
테마파크
해수욕장
드라이브
래프팅
레이더영상
위성영상
황사분석
일기도
일별검색
일별통계
기상월표
월별검색
극값검색
어제날씨
강우집계
적설집계
한국기후
일평년값
월평년값
세계기후
상세예보
장기예보
서비스안내
서비스종류와 요금
서비스신청
서비스정보
> 고객센터 >
공지사항
기상특보 :
- 2025-07-02 16:00:00 o 폭염경보 : 경기도(가평, 하남, 용인, 이천, 안성, 여주, 광주, 양평), 강원도(강릉평지, 동해평지, 삼척평지, 양양평지, 강원남부산지), 충청남도(공주, 아산, 논산, 금산, 부여), 충청북도(청주, 옥천, 영동, 충주), 전라남도(나주, 담양, 곡성, 구례, 장성, 화순, 고흥, 보성, 여수, 광양, 순천, 장흥, 강진, 완도, 영암, 무안, 영광), 전북자치도(김제, 완주, 임실, 순창, 정읍, 전주, 남원), 경상북도(문경, 영주, 영양평지, 경북북동산지 제외), 경상남도(통영, 남해 제외), 제주도(제주도동부),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울산, 세종 o 폭염주의보 : 경기도(광명, 과천, 안산, 시흥, 부천, 동두천, 연천, 포천, 고양, 양주, 의정부, 파주, 수원, 성남, 안양, 구리, 남양주, 오산, 평택, 군포, 의왕, 화성), 강원도(속초평지, 고성평지, 영월, 정선평지, 횡성, 원주, 철원, 화천, 홍천평지, 춘천, 양구평지, 인제평지, 강원북부산지, 강원중부산지), 충청남도(천안, 청양, 예산, 태안, 당진, 서산, 보령, 서천, 홍성, 계룡), 충청북도(보은, 괴산, 제천, 진천, 음성, 단양, 증평), 전라남도(해남, 함평, 목포, 신안(흑산면제외), 진도, 거문도.초도), 전북자치도(고창, 부안, 군산, 진안, 무주, 장수, 익산), 경상북도(문경, 영주, 영양평지, 경북북동산지), 경상남도(통영, 남해), 제주도(제주도서부, 제주도북부, 제주도남부, 제주도북부중산간, 제주도남부중산간), 서울, 인천(강화군,옹진군 제외), 울릉도독도
1 기상특보
2 장기예보
3 SMS서비스
4 황사정보
5 세계예보
6 상세예보
7 골프장날씨
8 슈퍼컴예보
9 지역별날씨
조석표
일출몰시간
양음력변환
섭씨화씨변환
체감온도
불쾌지수
날씨속담
기상용어
예보용어
아이콘설명
FAQ
공지사항
Q&A
사이트맵
한반도 오존층 살아난다
관리자
2014-09-18
기상청은 한반도 상공에서 오존층이 뚜렷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기상청은 1985년(연세대 기상청 위탁관측소), 1994년(포항기상대), 2013년(안면도, 제주도 고산)부터 성층권 오존 변화를 감시하고 있다.
한반도 오존 전량 연평균은 서울에서 1985년 317 DU(돕슨 단위, Dobson Unit)에서 2013년 325 DU,
포항에서 1994년 304 DU에서 2013년 318 DU로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DU(Dobson Unit, 돕슨 단위) : 대기 오존 총량 측정 단위. 0℃, 1기압 상태에서 1cm2 상에 존재하는 오존의 두께를 10-3cm의 단위로 표현한 것. 지구 전체의 평균오존량은 두께 300DU(3mm) 정도임)
[그림1] 서울(1985~2013)과 포항(1994~2013)의 오존전량 연평균 자료
몬트리올 의정서(Montreal Protocol, 1987) 체결에 따른 노력으로 한반도에서도 오존층 파괴의 직접 원인물질인 염화불화탄소류(CFCs)의 농도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안면도에서 관측된 CFC-11과 CFC-113의 2013년 연평균 농도는 각각 236ppt와 73.7ppt로 전년보다 7.2ppt(3.04%), 1ppt(1.35%)씩 감소하였다. CFC-11은 1999년 관측 이래 꾸준히 감소하였다.
(CFCs 대기 중 체류시간 : CFC-11 45년, CFC-113 85년, CFC-12 100년)
CFC-12의 2013년 연평균 농도는 514ppt로 1.5ppt(0.29%)로 감소하였다. CFC-12는 1999~2003년에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2004년부터 감소하는 추세이다.
[그림2] 안면도에서 관측된 염화불화탄소류의 농도 경향
세계기상기구(WMO)는 오존층이 점차 회복되어 향후 수십 년 안에 복구될 수 있는 궤도에 올랐다고 밝혔다.
WMO는 지구대기감시(GAW)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 65개 기관에서 오존 전량 지상관측을 수행해오고 있는데, 오존 전량은 1980~1990년대 초반에 전 지구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 추세였으나, 몬트리올 의정서 체결 이후 염화불화탄소류(CFCs)의 사용이 규제되면서 2000년 이후로는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다.
(염화불화탄소(CFCs)와 같은 오존층 파괴물질의 대기 중 농도는 10∼15년 전의 최대농도로 부터 약 10∼15% 감소하였다)
북극과 중위도 지방의 성층권 오존은 2050년대에 1980년 수준으로 회복하고, 남극의 오존 구멍 현상은 다소 늦게 회복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남극의 오존홀은 매년 봄철에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2011년 봄에 남극 성층권의 기온이 낮았을 때 큰 오존층 파괴가 발생하였다.
(오존 구멍 : 오존층의 오존량이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진 경우를 말하며, 남극의 경우 보통 220 DU 이하일 때를 말함)
 
올해 단풍 평년보다 늦을듯
관리자
전 지구 이산화탄소 400ppm 근접
관리자
웨더아이 - 날씨로부터의 자유, 날씨와 함께하는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