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저장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홈으로회원가입FAQQ&A공지사항
 
> 고객센터 > 공지사항
기상특보 :
- 2025-09-05 17:00:00 o 폭염경보 : 전라남도(광양, 완도, 영암, 흑산도홍도), 경상남도(창녕, 하동) o 폭염주의보 : 경기도(시흥, 김포, 고양, 파주, 오산, 평택, 하남, 용인, 이천, 안성, 화성, 여주), 강원도(정선평지, 횡성, 원주, 홍천평지), 충청남도(공주, 논산), 충청북도(청주, 옥천, 영동), 전라남도(광양, 완도, 영암, 흑산도홍도 제외), 전북자치도(고창, 부안, 군산, 김제, 완주, 임실, 순창, 익산, 정읍, 전주, 남원), 경상북도(구미, 영천, 경산, 청도, 고령, 성주, 칠곡, 김천, 상주, 예천, 안동, 영주, 의성, 청송, 봉화평지, 영덕, 경주), 경상남도(창녕, 하동 제외), 제주도(제주도서부, 제주도북부, 제주도동부, 제주도남부, 제주도남부중산간), 서울(서울서남권, 서울서북권),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세종
이상기후가 잦았던 2010년
관리자 2011-02-10
기상청과 녹색성장위원회가 공동 주관으로 발간한『2010 이상기후 특별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에는 폭설, 한파, 폭염 등 이상기후가 잦았다. 아래에 2010년의 주요 이상기후 기록과 주요원인, 그리고 분야별 영향을 요약했다. □ 주요 이상기후 기록   ○ 1월 4일 서울에 25.4cm의 폭설(1937년 이래 최대)   ○ 지난해 12월 하순 이후 3주간 한파 지속   ○ 3월 20일 흑산도에 역대 최고 황사 농도 기록(2,712㎍/㎥)   ○ 3월 하순부터 4월말까지 이상저온 지속(평균최저기온 1973년 이래 1위)   ○ 봄철 강수일수가 평년대비 9.9일 많았음(1973년 이래 1위)   ○ 봄철 일조시간이 평년대비 76.8% 기록(1973년 이래 최소 1위)   ○ 여름철 92일 중 81일의 전국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폭염 지속   ○ 8월 9일 태풍 뎬무 이후 한 달 동안 3개의 태풍 영향 받음   ○ 9월 1일 태풍 곤파스에 의해 흑산도 순간최대풍속 45.4m/s 기록   ○ 9월 21일 서울의 일강수량 259.5mm 기록(1908년 이후 역대 2위)   ○ 11월 11일 서울의 황사 농도가 가을철 역대 최고 기록(1,191㎍/㎥) □ 주요 원인   ○ 지구온난화      - 1880년 이래 1~10월 전지구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   ○ 북극의 이상난동      - 북극진동 지수가 1950년 이후 가장 낮은 음의 지수를 기록함으로써 한파와 폭설의 원인이 됨   ○ 엘니뇨에서 라니냐로의 급격한 열대 태평양 해수면 온도 변화      - 지난 해 12월 엘니뇨 감시구역의 해수면 온도 편차가 +1.8℃로서 1997년 이후 가장 강한 엘니뇨 상태를 보인 후 올 해 6월부터 라니냐 상태로 급격하게 전환   ○ 여름철 북태평양 고기압의 이례적 발달      - 북태평양고기압의 이례적 발달로 폭염과 열대야가 장기간 지속됨.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에서 발달한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8월 이후 집중호우가 자주 나타남. □ 분야 별 영향   ○ 농업 분야      - 이상한파․폭설에 의한 시설물 파손(비닐하우스 1333동, 인삼재배시설, 버섯재배사 등), 복숭아․매실 등 핵과류 과수 동해      - 이상저온․일조량 부족으로 월동작물 생육부진 등 전체 시설면적의 28%(14,000ha) 피해      - 집중호우로 농경지 침수 및 시설작물 피해      - 태풍 곤파스에 의한 강풍으로 벼 출수기 백수 피해(15,372ha), 과실 낙과 등으로 수량 감소, 내재해형 설계기준을 초과한 강풍으로 시설물 파손     ○ 국토해양․방재 분야      - 이상환파․폭설로 2조 4천억원의 경제적 피해 발생 추정. 1월 4일 폭설로 수도권 전동차 운행중단 및 지연(537회, 전체 운행계획의 8.3%에 해당)      - 9월21일 집중호우로 2명 사망 54,410명 이재민 발생, 주택파손(17동) 등 593억원 재산 피해. 올 해 9회의 집중호우로 총 7명 사망, 1,762억원 피해      - 집중호우로 경인선, 경부선 등 9개소(일반철도 4개소, 도시철도 5개소) 철도 침수 피해 및 열차운행 장애(KTX 등 철도 178개, 지하철 111개). 폭우로 공항 부대시설 침수 피해.      - 태풍 곤파스의 영향으로 주택 578동 파손 등 1,674억원 피해, KTX 24개 등 359개 열차 지연 운행 등 올 해 3개의 태풍 영향으로 7명 사망, 1,674억원 피해   ○ 산업․에너지 분야      - 이상한파․폭설로 차량․선박․항공 등 대부분 운송수단 중단, 소비심리 악화, 경기회복세 둔화, 제조업체는 원료공급 지연으로 생산 차질, 온라인 홈쇼핑 배송지연 사태 발생      - 이상저온으로 봄 의류 판매 부진, 스포츠․오락 관련 서비스업은 전년 동월 대비 4.4% 감소      - 집중호우․낙뢰에 의해 고리원전 1․2호기 원자로 가동 중단, 전력공급 중단으로 석유화학단지 공장 가동 중단      - 기후요인으로 전 계절에 걸쳐 에너지 소비 증가. 기온의 에너지 소비증가 효과 기여율이 21.8%에 달함.   ○ 산림 분야      - 이상한파․폭설로 전북지역 복분자 재배지(890가구) 피해, 가로수와 임복의 도복, 표고재배시설 피해      -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로 250억원, 임도(44km) 피해 82억원, 표고재배사 등 기타 피해 116억원      - 태풍 곤파스에 의한 강풍으로 임목(395,416본), 가로수(10,836본), 표고재배사 등(6,505 가구) 피해   ○ 수산 분야      - 잦은 폭설과 풍랑 특보로 연안 조업 차질. 동해 오징어 어획량이 전년 대비 50% 감소      - 이상저온․일조량 부족으로 난류성 어종 어획량 부진(어종 별로 전년 대비 36~65%). 한류성 어종 호황(대구 어획량은 전년 대비 7개 증가). 봄철 동해연안 저수온으로 양식생물(패류, 멍게, 가리비 등) 성장 부진, 일조량 부족으로 해조류 양식 어업 영향   ○ 환경․보건 분야      - 이상한파․폭설로 멸종위기종 1급으로 지정된 산양 19마리 사망. 한파에 의한 습지 결빙으로 철새의 종과 개체수 변화      - 집중호우로 팔당호 부유물질과 대장균 오염농도 악화. 집중호우로 대량의 수해 쓰레기 발생      - 폭염․열대야로 응급진료환자(455명) 중 8명 사망
 

2010년 태풍발생 특성 관리자
올 가을 기상분석 관리자
   
웨더아이 - 날씨로부터의 자유, 날씨와 함께하는 행복
회사로고회사소개사이트맵이용약관 서울특별시 중구 중림동 브라운스톤서울 101동 2204호 tel:02-704-0030
 
주)웨더아이사업자등록번호:106-86-31498개인정보취급방침이메일주소 무단 수집거부
copyright 주)웨더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