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쾌지수
기온 ˚C
습도 %
불쾌지수
불쾌지수(discomfort index, DI)는 Thom(1957)이 제창한 것으로서 기온과 습도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온습도지수라고도 한다. 이 지수는 여름철 실내의 무더위의 기준으로서만 사용되고
있을 뿐 복사나 바람 조건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적정한 사용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원래 불쾌지수는 인종에 따라 쾌감대의 범위가 달랐던 것과 같이 DI의 값에 따라 불쾌감을
느끼는 정도도 인종에 따라 약간 차이를 보이고 있다.

DI = 0.4x(Ta + Tw) + 15
Ta : 건구온도(℉)
Tw : 습구온도(℉)


로서 화씨온도를 사용토록 되어 있다.
원래 DI는 DI값은 ℃단위가 아니고 ℉단위의 기온값을 기준으로 구해졌던 것이므로, 이를 ℃눈금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DI = 0.72[Ta(℃) +Tw(℃)] + 40.6 그러나 습구온도가 관측되지 않는 기상청도 있으므로,
기상청에서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DI 9/5Ta-0.55(1-RH)(9/5Ta-26)+32
Ta : 건구온도 (℃)
RH : 상대습도 (소수단위)


불쾌지수를 구하는 모노그램

불쾌지수에 따른 신체증상

DI 불쾌를느끼는 정도
68 이하 20 이하 전원 쾌적
70 21 불쾌를 나타냄
75 24 10% 정도 불쾌
80 26.5 50% 정도 불쾌
83 28.5 전원 불쾌
86 30.0 매우 불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