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용어

한랭고기압

cold high 등압면에서 기온이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고기압을 말한다. 대륙의 복사냉각으로 지표면 부근의 공기가 냉각되어 형성되며, 대표적인 것으로 시베리아고기압을 들 수 있다. 보통 고도 2 ㎞ 정도의 대기 하층의 현상으로, 이보다 더 위에서는 주위보다 기압이 낮아지므로 저기압이나 기압골로 된다. 이와 같이 키가 작으므로 일명 키 작은 고기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봄과 가을철에 우리나라 부근을 통과하는 이동성고기압은 한랭고기압인 경우가 많다. 이 고기압의 상공에는 남서기류가 많이 나타나며, 이 기류가 습윤한 공기를 상공으로 운반하기 때문에, 한랭고기압권 내에서도 구름이 많이 낄 수 있고 그 연변에는 비가 오기도 한다. 우리나라 겨울철 날씨를 지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