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용어

집중호우

severe rain storm 짧은 시간에 좁은 지역에서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즉, 시간과 공간적 집중성이 매우 강한 비를 의미한다. 원래 이 용어는 보도 관계자들에 의해서 유래된 것이지만 현재는 거의 기상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집중호우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한 시간에 30 ㎜ 이상이나 하루에 80 ㎜ 이상의 비가 내릴 때, 또는 연강수량의 10%에 상당하는 비가 하루에 내리는 정도를 말한다. 집중호우는 지속 시간이 수십 분에서 수 시간 정도이며, 비교적 좁은 지역(보통 반경 10∼20 ㎞ 정도)에 집중적으로 내린다. 천둥·번개를 동반하기도 한다. 태풍·장마전선·발달한 저기압·수렴대 등에 동반되어 2∼3일간 지속되기도 한다. 집중호우는 주로 강한 상승기류에 의해 형성되는 적란운(뇌운)에서 발생한다. 이는 장마전선이나 태풍, 저기압과 고기압 가장자리의 불안정에서 비롯된다. 적란운의 크기는 보통 수평 방향으로 수∼수십 ㎞, 연직 방향으로는 대류권의 꼭대기 부분인 권계면(고도 10∼15 ㎞)에 달한다. 발달한 적란운은 약 1,000∼1,500만 톤의 물을 포함하고 있는 거대한 하늘의 저수지라고 볼 수 있다. 이 구름이 한곳에 정체하여 계속 비가 내릴 때 집중호우가 된다. 이 구름은 수명이 1∼2시간 정도밖에 되지 않으나, 주변의 기상 조건이 맞으면 생성하고 소멸하는 과정이 수없이 반복되면서 며칠 동안 계속되는 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