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용어

지균풍

geostrophic wind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전향력과 기압경도력이 완전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을 때 부는 가상의 바람을 말한다. 지형풍이라고도 한다. 실제로 지균풍은 기압이 낮은 쪽을 왼쪽에 두고 등압선과 평행하게 분다(남반구에서는 기압이 낮은 쪽이 반대로 오른쪽이 된다). 크기는 기압경도력에 비례하고, 위도의 사인(sin)값에 반비례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같은 기압경도력이면 북극에서의 속도는 우리나라에서의 약 2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지균풍이 부는 한 기류는 발산·수렴하지 않으며, 기압에도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사실 고도 수 ㎞ 이상의 상층풍은 이러한 지균풍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데, 실제의 바람이 지균풍과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가는 일기 변화를 고찰하는 데 중요한 요건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