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규모 mesoscale 대기대순환의 규모를 분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것이 있는데 Orlanski(1975)의 규모 분류에 따르면, 2,000 ㎞ 이상은 대규모(macroscale), 2∼2,000 ㎞의 범위는 중규모(mesoscale), 2 ㎞ 이하는 미규모(microscale)로 나눈다. 중규모는 다시 200∼2,000 ㎞의 범위를 중(meso)-α, 20∼200 ㎞ 범위를 중(meso)-β, 그리고 2∼20 ㎞ 범위를 중(meso)-γ 규모로 세분한다. 이에 의하면, 대기대순환과 온대저기압은 대규모 순환, 태풍은 중(meso)-α 규모, 스콜선과 해풍은 중(meso)-β 규모, 적란운은 중(meso)-γ 규모로 분류된다. 중규모의 수평 방향의 파장은 수십에서 수백 ㎞, 연직 방향의 두께는 10 ㎞, 수명은 10여 시간 정도이다. 이 규모의 현상은 국지기상의 예보상 특히 중요하나, 보통 사용되는 일기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